포토갤러리 565

산벚나무와 열매 Sargent cherry

산벚나무와 열매 Sargent cherry ​ 분류 : 현화식물문> 목련강> 장미목> 장미과> 벚나무 속 학명 : Prunus sargentii Rehder 서식지 : 낙엽활엽수림 국내 분포 : 함경남북, 황해, 강원, 전라남북, 제주 도 해외 분포 : 일본, 러시아 사할린 꽃말 : 순결, 담백 ​ 얼었던 대지를 녹이고 봄기운에 만물이 소생하면서 벚꽃이 만발한다. 온천지가 벚꽃으로 덮인다. 사람들이 봄기운에 처해 있는 사이에, 푸른 산에도 여기저기 점점이 벚꽃이 하얗게 수를 놓는다. 이름하여 산벚꽃이라 한다. 산벚꽃이 피고 나면 화사한 봄꽃은 언제라 할 것도 없이 사라져 버린다. 아쉬움을 남기고 간 나뭇잎 사이에 맺히기 시작한 열매가 벗지로 자란다. 여름이 다가오는 5월 말에서 6월 초에 이벚지가 청포도..

산딸나무 Kousa Dogwood , 四照花 , ヤマボウシ山法師’ 山帽子

산딸나무 Kousa Dogwood , 四照花 , ヤマボウシ山法師’ 山帽子 ​ 분류 : 속씨식물> 쌍떡잎 식물강> 층층 나무목> 층층나무과> 층층나무속 학명 : Cornus kousa 원산지 : 아시아(일본, 한국, 중국) 서식지 : 산지의 숲 크기 : 약 5~12m 용도 : 양조용, 생식용, 음료용, 약용 등 꽃말 : 견고 ​ 낙엽교목으로 봄이 시작되면 가지 끝에서 새잎이 나오고 늦봄에 하얀 꽃이 이파리 위에 핀다. 처음에는 꽃색이 희게 나오다 시간이 지나면 붉은 기가 감돈다. 열매는 10월경에 붉게 익는데 딸기 모양이다. 단맛이 나고 그냥 먹을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보기만 한다. 소화 불량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그리고 새 중에서도 직박구리가 열매를 즐겨 먹는 것을 볼 수 있다. 나무는 응달에서 잘 자..

영춘화(迎春花)<일>げいしゅんか Winter jasmine

영춘화(迎春花)げいしゅんか Winter jasmine 분류 : 물푸레나무목> 물푸레나무과> 영춘화 속 학명 : Jasminum nudiflorum Lindl. 원산지 : 중국 꽃색 : 노란색 꽃말 : 사모하는 마음, 희망 ​ 이름 그대로 봄을 맞이하는 꽃이다. 이른 봄에 잎보다 꽃이 물이 오르기 시작하는 가지에서 노랗게 핀다. 낙엽 관목으로 관상용으로 중부 이남에서 많이 볼 수 있다. 가지가 개나리처럼 길게 축 늘어 진다. 땅에 닿는 부분에 뿌리가 나온다. 번식을 하고 싶으면 줄기를 땅에 닿게 하고 흙을 덮어 두면 뿌리가 내려서 새로운 개체가 된다. 이런 것을 휘묻이라 한다는 것을 배운 기억이 난다. 뽕나무 번식을 할 때 많이 사용한다는 말을 들은 기억이 있다. ​ 멀리서 보면 개나리로 보기 쉽다. 자세..

분홍 당아욱 Mallow flower

분홍 당아욱 Mallow flower ​ 분류 : 아욱과 학명 : Malva sylvestris var. mauritiana 원산지 : 아시아, 유럽 분포 지역 : 울릉도와 남부 지방 개화기 : 6~9월 크기 : 높이 60~90cm 꽃색 : 자주색, 분홍색, 녹색 다른 이름 : 금규, 당규, 대화규, 전규, 분홍아욱, 키아욱(북한) 꽃말 : 자애, 어머니의 사랑, 은혜 ​ 수년 전에 도시농업을 한답시고 조그마한 텃밭을 여러 해에 걸쳐서 가꾸어 본 일이 있다. 그때 아욱처럼 생겼는데 아욱은 아니고... 아욱은 흰 꽃으로 쪼갠은데(작은데) 자주색으로 큰 꽃이 달려 있어서 무엇일까 하고 머리가 좀 복잡해지는 식물이 텃밭에 나타난 것이다. 두해 살이 풀로 관상용으로 알려진 식물이라 하는데 울릉도에서는 야생화가 ..

땅귀개 Bifid bladderwort

땅귀개 Bifid bladderwort ​ 분류 : 통화식물목> 통발과> 통발 속 학명 : Utricularia bifida L. 원산지 : 한국(한국 특산 식물) 서식지 : 습기가 많고 물이 고여 있는 양지의 풀숲 꽃색 : 노란색 크기 : 약 7~15cm 정도 개화기 : 8~9월 다른 이름 : 땅귀이개, 이알초 꽃말 : 파리의 눈물 특징 : 식충 식물 ​ 수원의 칠보산 남쪽 기슭에 일광사가 있고 그 동쪽에 물이 고여 있는 곳에서 끈끈이 주걱(여기를 클릭해 보세요)을 본 것을 올린 일이 있다. 그때 끈끈이주걱 바로 옆에 땅귀개가 있었다. 한꺼번에 식충식물 두 종을 보게 된 것이다. ​ 벌레잡이 풀로 여러 해 살이다. 귀이개를 닮았다 하여 붙혀진 이름이 땅귀이개로 불리기도 한다. 식충식물로 우리나라가 원산..

둥근 잎 미국나팔꽃 Ivy-leaved morning glory

둥근 잎 미국나팔꽃 Ivy-leaved morning glory ​ 분류 : 통화 식물문> 메꽃과> 미국나팔꽃 속 학명 : Ipomoea hederacea var. integriuscula A. Gray 원산지 : 열대 아메리카 개화기 : 8~10월 꽃색 : 파란색 다른 이름 : 견우화, 조안화, 라발화, 꽃말 : 기쁜 소식, 허무한 사랑, 덧없는 사랑 ​ 덩굴성 식물로 한해살이풀이다. 북아메리카에서 귀화한 식물로 1980년 임랑재 조의식 두 분이 장항과 군산에서 채집하여 보고된 것이 처음이라 한다. 지금은 경기를 비롯하여 중, 남부 지방으로 널리 퍼져 있다. 잎이 둥글고 톱니가 없고 털이 나있다. 꽃 모양은 갈 때기 모양으로 지름이 2~3cm 정도 된다. ​ 여기 올린 사진은 수원의 서호공원 수변 울타..

겹벚꽃 Double-flowered cherry

겹벚꽃 Double-flowered cherry ​ 분류 :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 학명 : Prunus donarium 원산지 : 일본에서 산벚꽃을 개량 육종 꽃말 : 정숙, 단아함 ​ 벚꽃이 지고 나면 이어서 피는 꽃이 겹벚꽃이다. 꽃잎이 겹으로 피어서 화려하면서 단아하고 우아하다. 잎이 피기 전에 꽃이 먼저 피면서 이내 잎이 따라 핀다. 산벚꽃을 일본에서 육종한 것이라 하는데 수술과 암술이 있지만 퇴화하여 꽃잎으로 변한 것이다. 열매는 씨방과 꽃잎이 변해서 겹꽃이 됨으로 맺지 모한다. 그래서 번식은 벚나무 대목으로 접붙이기를 해야 한다. ​ 나무의 수형이 아름답고 꽃이 좋아서 관상용으로 정원수, 공원수로 많이 심는데 지방에 따라서는 가로수로도 심어놓은 것을 볼 수 있다. 추위에 약하여 중부 이..

프리틸라리아 페프시카 Fritillaria persica

프리틸라리아 페프시카 Fritillaria persica ​ 분류 :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 패모(백합) 속 학명 : Fritillaria ussuriensis 원산지 : 이란,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인도 등 개화기 : 4~5월 키 : 90~110cm 꽃말 : 변함없는 사랑 ​ 추위에 강해서 전국에 노지 월동이 가능한 다년생으로 정원이나 화단, 공원 등에 관상용으로 심는다. 아직은 널리 보급이 되지 않아서 좀처럼 보기 어려운 식물이다. 꽃을 좋아하는 마니아들 사이에 백합 뿌리 같은 구근을 구해다 즐기고 있는 정도로 보면 될 것 같다. 줄기가 곧게 자라면서 꼭대기 부분에서 꽃대가 올라오고 자주 색의 꽃이 층층이 실유카(여기를 클릭해 보세요) 처럼 매달려 핀다. ​ 구근을 9~12월 사이에 반그늘..

매발톱 Oriental columbine

매발톱 Oriental columbine ​ 분류 : 현화식물문> 목련강> 미나리아재비과> 매 발톱 속 학명 : Aquilegia buergeriana Siebold & Zucc. var. oxysepala(Trautv. & C. Mey.) Kitam 원산지 : 한국, 중국, 시베리아 동부 국내 분포 : 전국의 산지와 숲가장자리, 계곡. 경사면의 풀밭 해외 분포 : 중국, 일본, 러시아 동북부 다른 이름 : 첨악루두채 북한 명칭 : 매발톱꽃 개화기 : 5~7월 꽃말 : 승리의 맹세 ​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이 자주색으로 가늘은 꽃자루 위에 하늘하늘 하게 핀다. 일반적으로 꽃은 하늘로 향하여 피지만 이 꽃은 땅에 무엇이라도 있는 것처럼 아래로 보고 핀다. 하늘색 꽃도 있는 모양이지만 흔하게 볼 수 있는 것은..

이팝나무 Chinese Fringe Tree

이팝나무 Chinese Fringe Tree ​ 분류 : 속씨식물> 쌍떡잎 식물강> 용담목> 물푸레나무과> 이팝나무속 학명 : Chionanthus retusa LINDL. & PAXTON 원산지 : 아시아 개화기 : 5~6월 수명 : 약 500년 다른 이름 : 이암나무, 뻣나무, 쌀밥나무, 입하나누, 유소수, 입하수 꽃말 : 영원한 사랑, 자기 향상, 충절 ​ 이북에서 김일성이 때부터 하는 말이 이밥(쌀밥)에 소고기국을 먹게 하여 주겠다고 하였으나 아직도 먼 이야기가 되고 있다. 이팝나무는 이팝나무 꽃이 쌀밥을 닮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 이팝나무는 키가 20~30미터나 자라고, 지름도 몇 아름이나 되는 큰 나무이면서 5월 중순에 파란 잎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새하얀 꽃을 가지마다 소복소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