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갤러리 565

란타나, Lantana, 칠변화( 七變花)

란타나, Lantana, 칠변화( 七變花) ​ 분류 : 속씨식물> 꿀풀목> 마편초과> 란타나족> 란타나 속 학명 : Lantana camara L. 원산지 : 열대 아메리카, 서인도제도 개화기 : 6~9월 크기 : 50~200cm 꽃말 : 엄격, 엄숙, 나는 변하지 않는다 탄생화의 날 : 10월 27일 ​ 수원의 서호생태공원과 인접하여 서호어린이 집이 있다. 여기에 조그마한 화단을 만들어 놓고, 각종 식물을 심어놓고 약간의 조형물을 곁들여 아이들이 좋아 하게끔 아름답고 귀여운 티가 난다. 오매가매 눈길이 끌려서 자주 들여다본다. 며칠 전부터 화단에 평소 보지 못한 꽃이 아름다움을 뽐내고 있어서 무엇인가 하고 알아 본 결과 란타나라는 꽃나무다. 이파리도 시원하게 생겼고 꽃도 예쁘장한 것이 뭉쳐서 피는데, ..

물매화, Wideword Parnassia, Marsh grass of parnassus

물매화, Wideword Parnassia, Marsh grass of parnassus ​ 분류 : 현화식물문> 목련강> 장미목> 물매화과> 물매화 속 학명 : Parmassia palustris L. var. multiseta Ledeb. 원산지 : 한국 서식지 : 산지의 숲으로 가려 지지 않은 경사 지대 국내 분포 : 경기, 강원, 경북, 경남, 전라남북, 북한 해외 분포 : 중국 동북부, 일본, 러시아 꽃색 : 흰색 개화기 : 7~8월 다른 이름 : 매화초, 다자매화초 꽃말 : 고결, 결백, 정조, 충실 탄생화의 날 : 9월 1일 - 宇賢 모닥불 文浩一 - 2022년 8월 29일

문주란, 文珠蘭, poison bulb, giant crinum lily, grand crinum lily, spider lily

문주란, 文珠蘭, Poison bulb, giant crinum lily, grand crinum lily, spider lily ​ 분류 : 속씨식물> 외떡잎 식물강> 아스파라거스목> 수선화과> 문주란 속 학명 : Crinum asiaticum var. japonicum Baker 원산지 : 아시아(대한민국), 북아메리카 서식지 : 해안의 모래땅 크기 : 약 30~50cm 다른 이름 : 문주화, 해대칠, ​海帶七, 나군대, 羅裙帶, 수초, 水蕉, 우황산, 牛黃傘, 만년청, 萬年靑 꽃말 : 청순함 천연기념물 : 제19호 ​ 문주란 하면 가수 문주란을 연상하기 쉽다. 그러나 여기서 말하는 문주란은 우리나라 제주도 특산식물인 문주란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문주란을 알게 된 것은 공군에 입대하고 제주도 배치를 ..

무, Radish, 나복, 蘿蔔, 청근, 菁根

무, Radish, 나복, 蘿蔔, 청근, 菁根 ​ 분류 : 속씨식물> 쌍떡잎 식물강> 십자화목> 십자화과> 무속 학명 : Raphanus sativus var, hortensis for. acanthiformis MAKINO 원산지 : 지중해 연안 꽃말 : 계절이 주는 풍요 ​ 무를 모르는 사람이 있을까 하고 생각하면서 무에 대한 것을 쓰려니 조심스러워 진다. 무는 일년생 또는 이년생 채소다. 무를 무우라 하는 사람도 많다. 1998년 한글 맞춤법 개정 전에는 무우가 표준어였는데 무를 쓰는 사람이 많다 하여 무가 표준어가 되었다 한다. 무라 하면 일반적으로 뿌리를 말할 때가 많다. 우리는 무시라 했다. 여인의 다리를 보고 무다리 같다는 말로 여성미를 나타낼때도 있다. ​ 무는 십자화과 일년생 또는 이년생..

메밀, Buckwheat, 蕎麦, そば

메밀, Buckwheat, 蕎麦, そば 분류 : 피지 식물문> 목련강> 마디풀목> 마디풀과> 메밀 속 학명 : Fagopyrum esculentum MOENCH 원산지 : 동아시아의 북부, 중앙아시아, 바이칼 호, 만주, 아무르 강변 분포 지역 : 전국 밭에 재배 번식 : 씨 크기 : 줄기 높이 60~90cm 개화기 : 7~10월 생약명 : 양맥(養麥) 약효 부위 : 온 포기 햇볕에 말려 쓴다 다른 이름 : 화양(花養), 양자(養子), 모밀, 메물 꽃말 : 연인 ​ 메밀은 뫼밀에서 변한 것이 아닌가 생각해 본다. 밀은 일반 밭에서 재배를 하지만, 본래 메밀은 척박한 야산 비탈 등에서 잘 자라기 때문에 산에 심는 밀 즉 뫼밀이 메밀로 된 것으로 해석해 본다. 이와 같이 거의 습기가 없는 메마른 땅에도 잘 ..

목화, Cotton, 木花

목화, Cotton, 木花 분류 : 속씨식물> 쌍떡잎 식물강> 아욱목> 아욱과> 목화 속 학명 : Goss ypium indicum 원산지 : 아시아(인도) 꽃색 : 백색, 황색, 옅은 붉은색 개화기 : 8~9월 다른 이름 : 면화, 미영, 미면 꽃말 : 어머니의 사랑 탄생화의 날 : 12월 12일 ​ 목화하면 목면인 무명베가 떠오른다. 목면은 목화를 실로 뽑아서 옷감을 만든 것이다. 목화는 중국에 사신으로 갔던 문익점이 목화씨를 가져와 재배를 한 것이 시초라고 한다. 이로써 우리나라 국민들이 겨울에도 따뜻하게 지낼 수 있었다. 일본은 그 후 한참 지나서 에도시대에 재배를 하였는데, 여러 가지 물감으로 옷에 무늬를 놓아서 상품으로 시장에다 내어 팔고 하면서 산업으로 발전시켰다고, 주일 대사관에 근무하였던..

메타세쿼이아, Metasequoia, dawn redwoods

메타세쿼이아, Metasequoia, dawn redwoods ​ 분류 : 구과 식물문> 구과 식물 강> 구과목> 낙우송과> 메타세쿼이아 학명 :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원산지 : 중국 크기 : 높이 약 35m, 지름 2m ​ 메타세쿼이아를 처음 본 것은 1980년대 초에 경상북도 구미의 금오산 공원에서였다. 처음 보는 나무로 곧게 자라며, 위로 올라가면서 원뿔 모양으로 가지가 나고 잎이 나서 아주 예쁘장하게 생긴 것이 키도 크고 하여 매우 마음에 들었다. 뒤에 들은 이야기로 고박정희 대통령 영부인인 육영수 여사가 좋아했다는 말도 들은 기억이 있다. 이후 이나무는 보기에 아주 멋이 있고 잘 자라서 전국의 도로에 가로수로 널리 심었다. 그중에서도 담양의 메타스퀘이아 가로수 길은..